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을 시작으로 심리학의 종류를 차근차근 소개해 드리려 합니다.
한국의 한국심리학회(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는 산하에 분과 15개의 학회가 있는데요.
그중에서 오늘은 1번째 분과인 '임상심리학(Clinical Psychology)'을 다뤄 보려고 해요.
한국 관점의 임상심리학과 미국 관점의 임상심리학을 각각 알아보고, 어떤 학파가 있는지 분류해 봤습니다.
한국 관점의 임상심리학:
임상 심리학은 정신 건강 장애의 평가, 진단 및 치료에 초점을 맞춘 심리학 분야입니다.
우리나라는 1960년대 초 첫 임상심리학 프로그램이 설립되는 등 임상심리학의 역사가 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오늘날 임상 심리학은 임상 심리학자, 전문 조직 및 연구 이니셔티브의 수가 증가하면서 한국에서 성장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한국 임상심리학의 역사:
우리나라에서도 임상심리학의 발전은 1946년 서울대에 최초의 심리학과가 설립된 것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후 한국에서 심리학의 연구, 교육, 그리고 실천을 촉진하기 위해 1949년에 한국심리학회가 설립됩니다.
하지만, 1960년대 초가 되어서야 연세대학교에서 최초의 임상 심리학 프로그램이 설립되었습니다.
1984년 한국임상심리학회(KCPA)가 창립되었습니다.
초기에는 국내에서 임상심리학이 뚜렷한 분야로 인식되지 않았습니다. 대신에, 환자들과 함께 일하는 심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사회심리학이나 발달심리학과 같은 심리학의 다른 분야에서 훈련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임상심리학에 대한 전문적인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여, KCPA는 1986년 연세대학교에서 한국 최초의 임상 심리학 대학원 과정을 설립했습니다. 그 이후로, KCPA는 한국에서 임상 심리 훈련과 실습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해 왔습니다. 그들은 또한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고 정신 질환이 있는 사람들의 권리를 옹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후 여러 임상심리 프로그램이 설립되고 보다 전문적인 조직이 구성되면서 그 분야가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대표 임상 심리학자와의 평가:
한국에는 경험이 많고 존경받는 임상 심리학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국내 인지행동치료 분야의 선구자로 인정받는 고영훈 박사가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고 박사는 인지행동치료에 관한 수많은 책과 논문을 썼고, 한국에서 임상심리학자들을 양성하고 교육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습니다. 한국임상심리학회지를 창간하는 등 국내 임상심리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신민섭 박사도 눈에 띕니다.
다른 정신 건강 전문가와의 비교:
한국의 임상 심리학자들은 정신과 의사와 사회복지사를 포함한 다른 정신 건강 전문가들과 함께 일합니다.
정신과 의사들이 정신 질환의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들인 반면, 임상 심리학자들은 심리 치료와 다른 비약리학적 치료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들은 심리치료를 제공할 수도 있지만, 그들의 주된 초점은 개인과 가족에게 사회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임상심리학은 서구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은 한국에서 성장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임상 심리학자, 전문 조직 및 연구 이니셔티브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그 분야에 상당한 기여를 한 많은 유능하고 존경받는 임상 심리학자들이 있습니다.
임상 심리학자들은 정신과 의사와 사회 복지사를 포함한 다른 정신 건강 전문가들과 함께 일하고, 심리 치료와 다른 비약리학적 치료에 초점을 맞춥니다.
미국 관점의 임상 심리학:
임상 심리학은 정신 건강 장애의 평가, 진단 및 치료에 초점을 맞춘 심리학 분야입니다. 미국에서 임상 심리학은 1900년대 초로 거슬러 올라가는 길고 풍부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날 임상 심리학은 많은 임상 심리학자, 전문 조직 및 연구 이니셔티브가 있는 미국에서 잘 확립되고 존경받는 분야입니다.
미국 임상 심리학의 역사:
미국에서 임상심리학은 1900년대 초에 심리학의 뚜렷한 분야로 부상하기 시작했습니다.
첫 번째 임상 심리학 프로그램은 1896년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설립되었고, 임상 심리학자들을 위한 첫 번째 전문 조직인 미국 임상 심리학자 협회 (현재 미국 심리학 협회로 알려져 있습니다)는 1892년에 설립되었습니다.
그 이후로, 그 분야는 칼 로저스, 에이브러햄 매슬로우, 그리고B.F. 스키너를 포함한 많은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 임상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하면서 성장하고 진화했습니다.
대표 임상 심리학자와의 평가:
미국에는 유능하고 존경받는 임상 심리학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인물은 인지치료의 창시자로 인정받고 있으며 심리치료 분야에 상당한 기여를 한 애런 벡 박사. 또 다른 저명한 인물은 변증법적 행동 요법(DBT)을 개발하고 임상 심리학 분야의 연구와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마샤 리네한 박사입니다.
다른 정신 건강 전문가와의 비교:
미국의 임상 심리학자들은 정신과 의사, 사회복지사, 그리고 상담사를 포함한 다른 정신 건강 전문가들과 함께 일합니다. 정신과 의사는 정신 질환의 치료를 전문으로 하고 약을 처방할 수 있는 의사이고 임상 심리학자는 심리 치료와 다른 비약리학적 치료에 중점을 둡니다. 사회복지사와 상담원들도 심리치료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들의 훈련과 집중은 임상심리학자들의 그것과는 다릅니다.
결론적으로, 임상 심리학은 미국에서 오랜 역사와 많은 영향력 있는 인물들을 가진 잘 확립되고 존경받는 분야입니다. 임상 심리학자들은 정신과 의사, 사회복지사, 상담사를 포함한 다른 정신 건강 전문가들과 함께 일하고, 심리 치료와 다른 비약리학적 치료에 집중합니다.
세계적인 임상 심리학자 5인:
- 애런 벡 (Aaron Beck): 벡 박사는 인지 치료의 창시자로 여겨지고 있으며 심리 치료 분야에 주요한 공헌을 해오고 있습니다. 그의 연구는 우울증, 불안 장애, 그리고 다른 정신 건강 상태의 치료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벡 박사의 인지 치료는 환자의 부정적인 사고와 행동 패턴을 수정하고 실용적인 문제 해결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중점으로 합니다. - 마샤 리네한 (Marsha Linehan): 리네한 박사는 변증법적 행동 요법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경계선 성격 장애와 다른 복잡한 정신 건강 상태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그녀의 연구는 치료하기 어려운 정신 건강 장애의 치료에 혁명을 가져왔습니다.
리네한 박사의 이론은 언어기반 행동치료(DBT)입니다.
이는 강령적 사고 및 행동 패턴을 수정하고 감정조절 및 인간관계 문제를 다룹니다.
이론은 원래 자해와 자살 위험을 가진 치료 대상으로 설계되었으며, 이후 불안, 우울증 및 대인관계 문제에도 적용되었습니다. - 주디스 벡 (Judith Beck): 벡 박사는 아론 벡의 딸이며 인지행동치료 분야에 상당한 기여를 했습니다. 그녀는 그 주제에 대해 수많은 책과 기사를 썼고 그 분야에서 인정받는 전문가입니다.
이론은 인지 및 행동 치료의 원리를 결합하여 개발되었으며, 효과적인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개인의 부정적인 자동 생각과 행동을 수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알버트 엘리스 (Albert Ellis): 엘리스 박사는 감정적 고통을 유발하는 비이성적인 믿음의 역할을 강조하는 인지 행동 치료의 한 형태인 합리적 감정 행동 치료의 창시자로 여겨집니다.
그의 연구는 심리 치료 분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엘리스 박사는 합리적 감성 치료(REBT)를 개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론은 인간의 감정 및 행동은 그들이 가진 믿음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불합리적인 믿음이 감정적인 문제를 초래한다는 것을 가르칩니다. - 마틴 셀리그먼 (Martin Seligman): 셀리그먼 박사는 웰빙을 증진하고 회복력을 증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긍정적인 심리학 분야의 연구로 유명합니다. 그의 연구는 우울증과 다른 정신 건강 상태의 치료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의 증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의 이론은 세 가지 주요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는 긍정적 감정, 의미 있는 삶, 그리고 개인의 강점에 대한 인식입니다.
그의 연구는 성공적인 삶과 질병 예방과 관련하여 긍정적 심리적 특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임상 심리학의 학파:
- 심리분석학파: 이 학파는 지각, 감정, 욕구 등을 통해 무의식적인 과정을 이해하고 심리적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프로이트의 무의식적 과정을 연구한 심리학자들이 있으며, 정신분석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 심리분석학의 창시자로, 무의식적인 과정을 연구하고 인간 행동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대표작으로는 "꿈의 해석 (Interpretation of Dreams)"과 "정신분석학 입문 (An Outline of Psychoanalysis)" 등이 있습니다.
알프레드 애드러 (Alfred Adler) : 인간의 욕구와 동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인심리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적극적인 생활 태도의 중요성을 주장합니다. 프로이트의 원인론적 분석에서 탈피하여 목적론적 분석을 기반으로 자신의 학설을 세웠습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개인심리학이며, 애들러와 입장을 같이하는 "애들리안 학파"로 불립니다. 1912년에 개인심리학회를 창시했습니다. 대표작으로는 "신경증적인 성격에 관하여 (Uber den nervosen Charakter)"와 "인간이해 (Menschenkenntnis)", "우리는 무엇 때문에 사는가? (Wozu leben wir?)" 등이 있습니다. - 인지-행동학파: 이 학파는 문제 해결과 행동 변화에 집중합니다. 행동치료와 인지치료가 이 학파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톨만, 반두라, 스키너 등의 심리학자들의 연구가 있으며, 인지-행동치료는 임상 심리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 방법 중 하나입니다.
버지니아 매 액슬린(Virginia Mae Axline) : 어린이 인간중심치료의 창시자로, 놀이 요법 사용(CCPT)의 선구자 중 한 명입니다. 인간관계 및 양육환경이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습니다. 대표작으로는 "자신을 찾는 딥스 (Dibs in Search of Self)"가 있습니다.
알버트 엘리스 (Albert Ellis) : 인지-행동치료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사람으로, 합리적 감정 행동 치료(REBT)를 창시했으며, 이성적이고 현실적인 태도를 중요시하고, 인간의 심리문제를 어떻게 처리해 나갈지를 강조합니다. 대표작으로는 "합리적인 삶을 위한 가이드 (A Guide to Rational Living)", "어떤 일이든 자신을 비참하게 만드는 것을 완강히 거부하는 방법 (How to Stubbornly Refuse to Make Yourself Miserable About Anything)가 있습니다. - 인간중심학파: 이 학파는 개인의 성장과 개발, 그리고 문제 해결에 초점을 둡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로저스, 마스로 등의 심리학자들의 연구가 있으며, 대인관계 및 자기 개념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인간중심치료는 대인관계 및 자아개념 개선을 위한 치료 방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칼 로저스 (Carl Rogers) : 인간중심치료의 창시자로, 인간의 자아실현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치료자와 환자 사이의 관계와 환경이 개인의 성장과 발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대표작으로는 "사람이 되는 것에 대해여 (On Becoming a Person)"와 "존재의 길 (A Way of Being)" 등이 있습니다.
에이브러햄 마스로 (Abraham Maslow) : 인간의 성장과 발전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한 인물로, 인간의 욕구와 우수성에 초점을 두며, 자아실현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제시하였습니다. 대표작으로는 "동기와 성격 (Motivation and Personality)", "인간 본성의 먼 곳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이 있습니다. - 통합학파: 이 학파는 다양한 학파의 이론과 치료 방법을 종합하여 사용합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심리분석, 인지-행동, 인간중심 등 다양한 이론과 연구가 있으며, 개인의 특징에 맞게 치료 방법을 선택합니다.
마샤 리네한 (Marsha M. Linehan) : 인지 행동치료와 심리분석을 결합한 변증법적 행동 치료(DBT)의 창시자로, 감정조절이 어려운 환자들에 대한 치료 방법을 연구하였습니다. 대표작으로는 "경계성 인격장애의 인지 행동 치료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와 "경계성 인격장애 치료를 위한 기술훈련 매뉴얼 (Skills Training Manual for Treatin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가 있습니다.
제롬 케이건 (Jerome Kagan) : 어린이의 인지, 정서, 인격 발달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미국의 발달 심리학자로, 자연과학적인 방법론과 인문학적인 관점을 접목하여 전체적인 이해를 추구합니다. 대표작으로는 "갤런의 예언: 인간 본성의 기질 (Galen's Prophecy: Temperament in Human Nature)"과 "인간의 불꽃: 인간 발달의 과학 (The Human Spark: The Science of Human Development)"이 있습니다.
각 학파는 서로 다른 이론적 배경과 치료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모두 문제 해결과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임상 심리학에서는 학파에 구애받지 않고, 개인의 특징에 맞게 다양한 이론과 치료 방법을 적용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한국심리학회의 2번째 분과인 "상담심리학(Counseling Psychology)"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산업 및 조직심리학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 | 2023.05.10 |
---|---|
2. 상담심리학 (Counseling Psychology)을 소개 합니다. (0) | 2023.05.04 |
정신의학(Psychiatry)과 임상심리학(clinical psychology) (1) | 2023.05.01 |
발달심리학 이론 - 생태학적 관점 (0) | 2023.04.24 |
심리학(Psychology)이 궁금해?? (0) | 2023.03.30 |
댓글